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컨벤션 센터의 장애인 응대 수준

유정과 내가 둘이 일정이 안 맞는 바람에 오래 전부터 가려고 했던 베이비페어에 함께 갈 수 없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좋은 기회를 놓칠 순 없지 않은가. 다음 베이비페어는 출산 후가 될 텐데...

모처럼 부모님께 도움을 요청했다. 이미 고마운 지인 새내기 부부들이 육아용품도 많이 보내주었고 유정이 미리미리 당근거래도 해놓은 터라 새로 살 물건이 많진 않았다. 육아 용품 구매보다는 정말 모처럼 부모님과 떠나는 나들이라는 기분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컨벤션 센터로 향했다. 강남 한복판에 있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컨벤션센터라면 장애인이 혼자서 쇼핑하는 것을 어느 정도는 지원하는 시스템이 있으리라. 게다가 박람회가 열리는 홀까지만 가면 박람회 안전 요원들의 도움을 받아서 충분히 혼자 쇼핑도 할 수 있으리라.


하지만 그렇게까지 모험은 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그보다는 베이비페어가 주는 그 활력과 꿈과 희망을 부모님과 함께 즐기고 싶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컨벤션센터와 박람회 안전요원들의 장애인 지원 시스템을 굳이 테스트할 생각은 조금도 없었다. 오늘은 나들이하는 날이니까. 만약 조금 더 도전 의식을 발휘했더라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컨벤션 센터와 베이비페어는 나 한 명쯤이야 충분히 지원해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기대하는 것도 과한 것은 아니지 않는가? 그것이 바로 자유주의 대한민국의 품격이라고 나는 믿고 싶다.


그런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컨벤션센터의 장애인 응대 시스템은 내가 택시에서 내려서 부모님을 만나기까지 단 2분 사이에 냉혹한 현실을 철저히 자각하게 만들어주었다. 마치 내가 지난 30년 동안 장애에 관해서 잘 모르고 살았던 사람인 것처럼, 내가 어떤 장애를 가지고 있는지 제대로 알려주겠다고 작정한 것처럼 나를 대했다.

내게 일어난 일은 이것이다.


택시에서 나는 컨벤션 센터의 대표번호로 전화를 걸었다. 먼저, 상담원에게 베이비페어가 열리는 홀이 어느 쪽 문과 가까운지 물어 택시에서 내려야 할 위치를 정확히 확인했다. 상담원은 매우 친절하게 안내해 주었다. 다음으로, 조금 난이도를 높여서 나의 장애 상태를 설명하고 택시 하차 후 컨벤션 입구부터 홀까지 안내해 주는 서비스를 요청했다. 물론 그런 서비스를 명시적으로 안내받은 적은 없다. 그리고 정말 그럴 리는 없겠지만 서비스를 거부할 것을 대비해서 이전에도 그런 서비스를 받은 적이 잆다고 덧붙였다. 상담원은 잠시 해당 팀에 확인해 보겠다고 했다. 확인하는 데 조금 시간이 걸렸다.

잠시 후 다시 연결된 상담원이 조금 난처한 목소리로 그런 서비스는 없는 것 같지만 일단 내 전화번호를 전달해주겠다고 얘기하고 전화를 끊었다. 불안감이 엄습했다. 정말 이 정도 서비스가 없으리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잠시 후 담당 팀의 담당자에게 전화가 왔다. 그는 나에게 매우 친절한 목소리로 말했다.


“고객님, 이전에도 그런 서비스를 받았다고 하셨는데 아마 그때 안내를 제대로 못 드린 것 같아요. 저희는 그런 서비스가 없어요. 고객님을 지원하러 나가려면 그 사이에 누군가는 자리를 이탈해야 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불가능해요.”

“아, 그런가요? 제가 분명 그런 서비스를 받았는데요.”

“아마도 그때도 안 되는데 저희가 해드렸던 것 같아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오늘도 도와드리긴 할게요. 할 건데 일단 이런 서비스가 없다는 건 알아 주시고 다음부턴 어렵다는 점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도착하시면 전화 주세요. 저희가 마중 나가겠습니다.”


잠시 후 목적지에 도착해서 담당 팀으로 전화했고 금세 안내요원이 나왔다. 입구 문을 열고 들어가서 몇 발자국을 더 가니 바로 베이비페어가 열리는 홀이 나왔다. 마침 바로 부모님이 나를 발견해서 내가 안내를 받은 시간은 채 30초가 되지 않았다. 내가 담당자와 통화한 시간과 안내를 받은 시간을 합하면 2분이 채 되지 않는다.

다행히 그 2분을 제외하면 이후의 일정은 아무런 문제 없이 스무스하게 흘러갔다. 부모님과 기분 좋게 박람회를 둘러보았고 기분 좋게 물건을 구매했고 우리 가족에겐 또 하나의 추억이 쌓였다. 하지만 나는 나의 장애를 뼛속까지 자각했다. 내 가슴에 남은 것은 또 하나의 상처다. 돌이켜 보면 상처받지 않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던가?


• 부모님께 같이 가달라고 요청하면서 애써 나들이로 포장했다.

  실은 베이비페어에 혼자 갈 수 없다는 철저한 현실 인식이 아니면 애초에 부모님께 부탁을 안 했을 수도 있다. 나는 나를 기망했다.

• 상담원과 담당 직원에게 이전에도 서비스를 받았다고 신신당부했다.

  실제로 안내 서비스를 한두 번 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 말을 한 이유는 서비스가 없다는 말을 듣지 않기 위해서였다.

• 이번 한 번만 더 도와준다는 말에 웃으며 고맙다고 인사했다.

  실은 속이 쓰렸다. 다음 번에 서비스를 거절당할 사람은 내가 아니라 다른 장애가 있는 예비 부모일 수도 있다.


상처 받지 않기 위해 이렇게까지 노력했는데 그 짧은 2분 동안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컨벤션 센터는 내가 컨벤션 센터에 혼자 올 수 없는, 혼자 와서는 안 되는 장애인이라는 터무니 없는 주장을 마치 명백한 진리인 양 설파했다. 이것이야말로 실질적인 장애 인식 개선 교육이 아닌가? 이래서 학교에서 하는 장애 이해 교육, 직장에서 하는 장애 인식 개선 교육은 다 위선이고 거짓인 것이다.

정작 장애인 당사자는 매일 같이 이런 ‘장애 인식 개선 교육’을 받으며 살고 있다.

헛웃음이 난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컨벤션 센터가 이 정도 수준이라면 다른 수많은 행사장들은 어느 정도란 말인가? 이 점을 일깨워주기라도 하듯 내 통화를 듣고 계시던 택시 기사님이 말씀하셨다.


“안내를 해준다니 코엑스는 다르군요. 제가 일산에 있는 킨텍스에 시각장애인 손님을 네 번 정도 모시고 갔는데 한 번도 전화 통화가 안 되더라고요. 매번 제가 안쪽까지 모셔다 드렸죠. 그래도 여긴 전화를 받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