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지원청에서 열린 교권보호위원회에 출석하고 왔다. 내가 오랫동안 가르친 학생들이 온라인 공간에서 나에 대한 심각한 모욕적 발언을 했고, 그 내용에는 차마 언급할 수 없는 장애 비하 발언이 포함되어 있다. 심야 시간에 온라인 공간에서 일어난 발언이라 교육활동 침해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도 있지만 내 해석은 그렇지 않다. 나는 교권보호위원회에서 내릴 수 있는 최고 수위 징계인 전학을 요구했다.
이 사건을 알고 나서 인권위에 전화 상담을 했을 때 인권위 진정을 하더라도 충분히 장애인 차별로 인정될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도 가장 좋은 건 교육지원청에서 적절한 조치가 내려지는 것이리라. 교육 당국의 자정작용이 인권위나 사법기관을 거치지 않아도 될 만큼 견고하기를….
육아와 시험문제 출제, 장교조 일 등 쉴 새 없이 몰아닥치는 일들 때문에 이런 일에 감정을 소모하고 싶진 않았다. 당연히 유정에게도 이전까지는 얘기하지 않았고 오늘 회의에 출석하고 돌아와서야 이런 일이 있었다는 정도로 얘기했을 뿐이다. 솔직히 말하면 나 스스로 피해자가 된다는 것 자체가 불편하고 거부감이 들어서 자꾸 회피하게 된 것 같기도 하다.
장교조 위원장으로 여러 곳에서 장애인교원이 겪는 고충을 얘기했지만, 이번에 확실히 느낀 것은 피해를 당하는 것과 ‘피해자’가 되어서 자신의 피해를 입증하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이다. 피해자가 되어 내게 벌어진 일을 곱씹고 관련 규정을 찾아서 상대방의 잘못을 지적하는 데에는 생각보다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나마도 장교조 활동 경험이 아니었다면 마음이 더 약해졌을지도 모른다. 장교조 위원장인 나도 막상 이런 일을 겪으면 회피하고 싶은데 다른 장애가 있는 선생님들은 어떨지 생각하며 마음을 단단히 먹었다.
학생을 사랑하는 마음과 잘못을 깔끔하게 인정하고 책임을 지게 하는 건 양립할 수 없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교육이라는 미명하에 중대한 잘못에 대해서 면책해 준다면 그것이 더 반교육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책임을 제대로 지게 만들려면 피해자도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피곤하다. 이 글을 쓰는 것도 피곤하다. 내게 벌어진 일을 되새기는 게 무척 괴롭고, 소중한 시간을 이런 데 쓰는 게 아깝다. 그래도 이 또한 나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것도 ‘장애인교원’으로 살면서 감내해야 하는 일이라면 감내하겠다.